반응형 와인이야기 | 와인(wine)을 사랑한 나라 - 프랑스! 2부 프랑스 와인 여행프랑스는 전체적으로 포도재배가 잘 되지만, 그중에서도 이름 있는 곳은 독일풍의 화이트 와인이 나오는 알자스(Alsace), 가벼운 와인이 나오는 루아르(Loire), 묵직한 레드 와인으로 유명한 보르도(Bordeaux), 화려한 맛의 레드ㆍ화이트 와인이 나오는 부르고뉴(Bourgogne), 텁텁하고 남성적인 와인의 론(Rhône), 샴페인이 대표적인 샹파뉴(Champagne) 등 6개 지방을 들 수 있다. 1. 보르도보르도 와인하면 와인에 대해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그 명성을 익히 알 정도로 옛날부터 유명한 곳이다. 일찍이 로마시대부터 포도밭이 조성되어 로마사람들이 보르도 와인을 애용하면서 그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고, 중세에 영국 영토로 편입되어 이 지역의 와인이 유럽전역으로 퍼지게 .. 교양 스토리 2025. 1. 24. 와인이야기 | 와인(wine)을 사랑한 나라 - 프랑스! 1부 프랑스 와인 발달의 배경1. 역사적 배경프랑스에서 처음 포도가 재배된 것은 BC 600년 경 페니키아인들에 의해서였다. 그들은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 지방에 상륙하여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포도나무를 경작하였다. 그러나 프랑스에 대대적으로 포도나무를 재배, 육성시킨 것은 고대 로마인들이었는데, 유럽전역, 지중해 연안의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넓은 식민지를 보유하고 있었던 로마는 군인들 사이에서 와인의 수요량이 급증하였고 이를 위하여 1세기경에는 론, 랑스독 루시용 지방에, 2~3세기경에는 부르고뉴, 보르도, 상파뉴 지방에, 5세기경에는 파리 부근으로 와인 재배 지역을 확대하였다. 당시 프랑스 지역에 살고 있던 ‘골족(갈리아인)’들에게도 로마 와인이 큰 인기를 끌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골족들도 훌륭한 와인 생.. 교양 스토리 2025. 1. 24. 세계사이야기 | 냉전(Cold war)과 열전(Hot war) 냉전체제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과 서방진영, 소련과 동방진영 간의 극심했던, 하지만 얼음장 같았던 극도의 긴장 속 대립상태를 말한다. 냉전(Cold War)은 일차적으로는 ‘두 개의 양립할 수 없는 세계관이 상호 경쟁적인 사회체제론을 바탕으로 전개한 대립’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냉전 시대라 함은 194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를 의미하는데, 이 시기에 두 진영 간의 직접적인 군사적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군사적인 영역을 포함한 정치, 경제, 외교, 이데올로기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극심한 대립이 일어났었다. 2차 세계대전은 종전의 1차 세계대전보다 이데올로기적 성격이 강했던 전쟁이었는데, 나치 타도라는 전쟁 최대의 목적을 달성한 뒤에는 미국과 소련 두 국가가 서로 멀어지며 결과적으..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5. 1. 22. 인류과학이야기 | 인류 진화의 과정 2부 후기 인류계통의 진화① 오스트랄로피테쿠스 (Australopithecus)4백만 년 ~ 1백만 년 사이에 존재했던 인류계통의 화석을 총칭하는 말이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유인원으로 인류의 혈통에 속해 있었다는 주장은 치열과 직립보행 했을 것이라는 선입견 때문이다. 뇌용량의 증대는 400~800cc 정도까지 달해 유인원과 현대인의 중간에 위치하며, 치아의 형태나 기능이 인간과 유사하다. 리키에 따르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강건형과 날씬형으로 분류하였다. ② 파란트로푸스 (Parantropus)약 200만년 전의 인류화석, 뇌용량이 500g 정도이고, 돌연장이 같이 발견됨. 연장을 사용하게 된 것은 손의 구조에 변화가 있음을 나타낸다. 엄지손가락이 현대인과 유사하며,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물건을 점을 수 .. 과학이야기 2025. 1. 14. 인류과학이야기 | 인류 진화의 과정 1부 선 인류계통의 진화 ① 파라피테쿠스 (Parapithecus) 3천600백만 년 전의 점시세로부터 2천 5백만 년 전까지로 추정되는 시기에 있었던 구세계 원숭이의 화석으로 보이며, 제일 처음으로 알려진 유인원과의 종류이다. ② 플리오피테쿠스 (Pliopithecus) 약 2천만 년 전인 중신세 때 생존하고 있었다. 유인원처럼 얼굴이 넓적하였으며, 어그니에는 교두가 5개 있었다. 얼굴, 턱, 이빨의 생김새가 긴팔원숭이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들의 조상일 것으로 추정된다. ③ 프로콘슬 (Proconsil) 1800만년 전 4발로 나무 위를 걸어 다닌 것으로 추정되는 원숭이와 인간의 공동 조상으로 어금니의 표면이 침팬지나 인간에 가깝다. ④ 드리오피테쿠스 (Dryopithecus) 신생대 3기 후반인 중신세.. 과학이야기 2025. 1. 14. 세계사이야기 |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The Last Emperor) 선통제 푸이 푸이(溥儀)는 손제(遜帝)라고도 불리는 중국 청(淸)의 마지막 황제인 선통제(宣統帝)의 이름이다. 본래 이름은 아이신줴뤄 푸이(愛新覺羅 簿儀)이며, 광서제(光緖帝, 1871~1908)의 이복동생인 순친왕(醇親王) 재풍(載豊)의 아들이다. 1908년 10월 서태후(西太后, 1835~1908)는 동치제(同治帝, 1856~1874)와 광서제(光緖帝)의 뒤를 잇기 위해 푸이(溥儀)에게 제위를 잇게 하겠다는 교서를 발표하였고, 그 해 11월 14일 광서제(光緖帝)가 죽자 푸이는 3살의 나이로 청(淸)의 12대 황제가 되었다. 연호는 선통(宣統)이라 하였으며, 아버지인 순친왕(醇親王)과 광서제(光緖帝)의 황후인 융유황태후(隆裕皇太后)가 섭정을 하였다. 순친왕은 황족이 절대 다수로 구성된 내각을 구성하여 황족..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5. 1. 6. 사회문화이야기 | 이슬람 전통의 상징 히잡 그리고 혁명! 히잡(Hijab)을 착용한 무슬림 여성들을 심심찮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슬람 여성들의 히잡 착용 관습은 9.11 테러사건 이후 인권문제와 더불어 국제사회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현재 담론화한 논쟁으로까지 발전하기에 이르렀다. 베일 착용의 시대별 의미와 기원 히잡*의 착용은 각 시대별로 그 의미와 기능을 달리했다.* 히잡 : 이슬람 사회에서 통용되는 베일은 국가와 민족에 따라 그 명칭과 모양을 달리하는데, 일반적으로 아랍국가에서는 히잡(Hijab)으로 통용된다. 이것은 ‘꾸란(코란)’에 언급된 의상이라고 전해지며, 두건 모양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시리아나 튀니지 등에서 주로 착용한다. 또한 이것은 유대교․그리스도교․이슬람교의 종교적 믿음보다는 문화적 전통에 기초하고 있었으며, 여성에게만 국한된.. 다양한 문화이야기 2024. 12. 24. 세계사이야기 | 피로 물든 네로황제의 막장 이야기 로마 제국의 제5대 황제 네로 (Nero, AD 54~68 재위)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의붓아들이자 후계자였다. 방탕하고 사치하며 그리스도교도를 박해하고, 확실한 증거는 없지만 로마 시를 불태운 것으로 악명높다. 네로는 기원 54년부터 68년까지 다스렸으며 그해에 약 31세의 나이로 자살하였다. ▷ 황제 후 정식 이름Nero Claudius Caesar Augustus Germanicus, Nero Claudius Caesar Drusus Germanicus(AD 50~54). ▷ 본명 : Lucius Domitius Ahenobarbus. ▷ 출생 : AD 37. 12. 15 라티움 안티움 ~ 68. 6. 9 로마. 1. 성장 아버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AD 40년경에 죽었으며 아우구스투..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12. 23. 세계사이야기 |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소련의 탄생 배경(러시아 혁명) 혁명 발발 직전 러시아의 시대 상황 혁명이 발발하기까지는 러시아의 사회적, 경제적 문제점과 제정 러시아의 신분구조에 있었다. 또한 근대화라는 위기는 전제 체제의 붕괴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었다. 19세기 초까지만 해도 러시아의 토지는 1만 명 미만의 귀족 가문이 전 토지의 90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근대화에 있어서 뒤쳐져 있다고 할 수 있었으며, 1861년에 이르러 비로소 농노해방이 실시되었다. 특히 1890년대부터 정부는 러시아 경제를 근대화함으로써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서유럽의 주요 열강에게 뒤처지지 않으려고 열심히 노력했다. 1913년이 되자 러시아는 세계 제5위의 공업 대국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외부로부터 일본, 오토만제국과 독일 등의 도전을 받고 있었으며, 내부적으로 근..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12. 18. 세계사이야기 | 독일 통일의 이해 민주주의는 사람들의 요구에 반응하고 평범한 일상에 기여해야 한다. 즉, 구체적이고 실용적 대안을 확대해야 한다. - 빌리 브란트 (전 독일 총리)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독일은 패전국으로 전락한다. 승전국이였던 미국, 영국, 소련, 프랑스는 독일의 전쟁 재도발을 우려해 독일을 4개의 지역으로 분할하여 점령한다. 얄타 회담 예비 협정에서의 합의에 따라 독일의 동쪽은 소련의 점령하에 공산주의체제를 갖춘 독일 민주 공화국이 되었고,독일의 서쪽은 서방연합국(미국, 영국, 프랑스)의 점령하에 자본주의체제를 갖춘 독일 연방 공화국이 되었다. 이로인해 하나의 국가였던 독일은 서로 다른 체제를 가진 각기 다른 정부가 세워진다. 그리고, 독일 수도 베를린 또한 나뉘게 된다. 원래 동독지역이 였던 베를린..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12. 9. 사회문화이야기 | 세계 최대 카지노(Casino) 도시 마카오(Macau) 세계 카지노 도시들 중 매출액이 라스베가스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섰으며, 아시아의 주변국으로 취급받다 카지노는 무조건 나쁘다는 기존인식을 벗어던지고 외국의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한 결과로 몇 년 사이 중국에서 가장 잘 사는 도시가 된 마카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벌벗 본후 글 쓰는데,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및 해제에 화들짝!.) 마카오(Macau)중국의 특별행정구역인 마카오는 중국 광동 지역의 주강 삼각주에 위치한 마카오 반도와 두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강 삼각주 너머 북동쪽으로 약 60km 지점에는 금융과 무역의 중심지인 홍콩이 위치해 있다. 마카오 반도에 위치한 마카오의 도시는 가장 인접한 섬인 타이파 (Taipa)와 2.5km와 4.5km, 그리고 2.2 km 의 세 개의 다리로 연.. 다양한 문화이야기 2024. 12. 4. 과학이야기 | 근대 과학의 창시자 아이작 뉴턴 3부 뉴턴의 일화 1. 뉴턴의 관찰력 뉴턴이 그랜섬의 중학교 다닐때의 일이다. 뉴턴은 그의 방을 어머니에게 받은 돈을 전부 털어 사들인 연장들로 가득 채웠다. 친구들과 사이가 원만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아이들이 게임을 하고 놀 때 혼자 방에서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들었을수도 있지만, 그는 무척이나 이런 시간을 즐겼다. 그랜섬의 북부에 풍차가 하나 지어졌는데, 물방앗간은 당시 이 지역에서 흔했지만 풍차는 거의 없었고, 따라서 풍차가 만들어지는 것을 구경하러 가는 것은 그랜섬 주민들의 소일거리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 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퐁차의 모형을 만든 것은 중학생이었던 뉴턴뿐이었는데, 그의 모형은 원형에 버금가는 훌륭한 작품으로 지붕 위에 올려놓으면 진짜처럼 움직였다. 더구나 이 모형은 진짜 풍차보다 .. 과학이야기 2024. 11. 24. 과학이야기 | 근대 과학의 창시자 아이작 뉴턴 2부 뉴턴의 업적 1. 광학자로서의 업적17세기 중엽은 과학이 전환기를 맞은 시대였다. 17세기 초기에는 망원경이 발명되어 천문학 연구 전반에 걸쳐 커다란 혁신이 일어났다. 때마침 영국의 철학자 베이컨과 프랑스의 철학자 데카르트 등이 전 유럽의 과학자들을 부추겨, 지난날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물리학)에만 의존하던 것을 지양하고 스스로의 힘으로 실험 관찰할 것을 주장했다. 이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주장을 그대로 실천에 옮긴 사람이 저 위대한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이었다. 뉴턴은 스스로 창안한 망원경을 사용해 천체 관측을 함으로써 천문학 연구에 커다란 혁신을 가져오게 했다.그리고 나아가 기계와 기구등의 실험을 통해 오늘날까지도 유명한 '뉴턴의 운동의 제1법칙'을 확립했다. 운동의 제1법칙은 조용히 멈추어 .. 과학이야기 2024. 11. 24. 과학이야기 | 근대 과학의 창시자 아이작 뉴턴 1부 뉴턴의 일생 1. 유년기 아이작 뉴턴은 1642년 크리스마스 아침에, 링컨셔의 그랜섬에서 남쪽으로 12킬로미터 떨어진 콜스터워드 마을 근처 울즈소프 영주의 저택에서 태어났다. 이 해에 갈릴레오(뉴턴의 과학적 경력의 대부분은 이 사람이 발견한 것들에 직접적으로 의존하게 된다)가 사망했기 때문에, 1642년은 상당한 의미를 지닌 해이다. 그가 태어나기전에는, 뉴턴가는 알려진 집안도 아니었고 집안에 교육을 받은 사람도 없었다. 그럼에도 뉴턴이 탄생하기 전까지 이 집안이 17세기 동안 계속해서 경제적으로 성장했다는 사실(뉴턴과 그의 사후, 뉴턴을 연구하던 사람들에의해 밝혀짐)로 볼 때, 이들이 근면했을 뿐 아니라 노력을 헛되게 하지 않을 만큼의 지혜도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뉴턴이 태어나기 3개.. 과학이야기 2024. 11. 24. 종교이야기 | 이슬람교의 이해 2부 분파 비교 : 수니파와 시아파수니파와 시아파는 정치적 종교적으로 분리된 두 가지 큰 종파이다. 일단 역사적으로 보면 수니파는 정통파 이슬람교도라고 할 수 있고, 알리를 지지하는 파는 시아파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종파가 분리된 것은 이슬람제국의 내란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마르가 죽은 후 우스만이 제 3대 칼리파로 선출되었다. 하지만 그의 통치기간 중에 내분이 일어나 칼리파가 살해당하고 무함마드의 사위이며 사촌인 알리가 암살자들의 지지로 칼리파로 선출되었다. 암살당한 우스만의 육촌이며 당시 시리아주 총독인 무와이야는 우스만의 살해자들을 처벌할 것을 요구하고 그들을 처벌하지 않는 한 알리를 칼리파로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알리는 그들을 처벌할 수 없었으므로 알리군과 무와이야군이 대결하여 이.. 다양한 문화이야기 2024. 11. 21. 종교이야기 | 이슬람교의 이해 1부 이슬람교의 기원1. 이슬람교 성립 이전의 아라비아 반도의 사회상태 인간은 생명의 기원, 종의 기원, 우주의 기원 등 존재의 원인자를 밝혀내려는 노력은 수 천 년 아니 그보다 더 오래 전부터 있어 왔으나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규명되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도 인간은 원인자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소멸하는 원인도 있을 것이라고 믿게 되었다. 이와 같이 존재의 원인과 소멸의 원인자가 있다는 것을 확신하고 그 원인자를 신으로 본 것이 바로 기독교와 이슬람이다. 먼저 이슬람 발생 이전의 아라비아반도는 세 가지 정치 사회 체제로 나누어져 있었다. 남쪽의 예멘지역은 국가체제를 형성하여 발전하였고 비잔틴제국과 페르시아제국과의 국경지역인 북쪽에는 이 양 대국의 종속국 형태를 취한 아랍부족국.. 다양한 문화이야기 2024. 11. 21. 세계사이야기 | 명나라 3대 황제 영락제와 정화의 대원정 2부 영락제의 황권 정책성조 영락제의 정책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황제권의 강화이고, 둘째는 북경으로의 천도, 셋째는 적극적인 대외활동이다.1. 황제권 강화영락제는 황제권의 강화를 위해 정부의 조직과 군대 체제를 정비 했다. 그리고 영락제는 문관체제를 개편하는 동시에 수백만 명에 이르는 군대의 병권을 장악해 황제권 강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환관을 주체로 하는 동창이라는 기구를 설치해 환관에게 높은 지위에 있는 관료를 적발하고 투옥할 권한을 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영락제는 황제권을 강화하였다. 2. 북경천도조카의 자리를 빼앗고 황제에 오른 영락제에 대한 강남지방의 여론은 좋지 못했다. 그러다보니 영락제는 남경에서 계속 거주한다는 것이 불편하였다. 게다가 북경은 영락제가 황제가 되는 과정에서..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10. 29. 세계사이야기 | 명나라 3대 황제 영락제와 정화의 대원정 1부 시대적 상황과 배경1. 아시아의 해양세계 근대부터 세계의 해양을 지배한 것은 활발한 식민지 개척에 앞장 선 유럽이었으나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해양을 지배한 것은 다름 아닌 많은 인구와 부를 자랑하던 중국과 인도가 속해있는 아시아였다. 이에 대한 것은 많은 학자들도 인정하고 있는 부분이다. 마르코 폴로와 같은 서양의 상인들이 부와 미지의 세상을 찾아 아시아로 향했다는 것만 봐도 해양의 중심이 아시아였다는 것을 알 것이다. 특히 인도양은 오랫동안 유라시아 해상 교역의 중심 무대였다. 인도와 중국, 동남아시아, 중동 지역, 아프리카, 그리고 여기에 더해서 중동 지역의 낙타대상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럽까지 모두 인도양을 통해 소통하였다. 근대 이전까지 아시아의 바다는 ‘만국보편의(ecumenica..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10. 29. 이전 1 2 3 4 ···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