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통음악의 이해 |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①국악개론 이조의 역대 제왕의 제사때 쓰이던 제사음악이다 ②전통음악개론 종묘에는 공이 큰 임금 19분의 신위가 모셔져 있고, 영녕전에는 조선 왕조의 공이 큰 왕족 15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일년에 한번 함께 제사하며 이때 연행되는 악(보태평, 정대업)· 가(악장)· 무(일무) 일체를 말한다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종묘와 영녕전의 제사에 사용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을 말하며 줄여서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④한국음악개론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신위가 있는 종묘에서 제사때 쓰이는 음악의 총칭이다 ⑤한민족음악론 조선시대 역대 제왕의 제사 드릴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 무용일체를 말한다 종 합 조선시대의 역대왕이 모셔져 있는 종묘와 왕족이 모셔져 있는 영녕전에서 일년에 한번(매년 5월 첫째주 일요일)함께 지.. 음악이야기 2022. 1. 30. 전통음악의 이해 | 국악의 악기 - 편성법 국악기의 편성법 1. 관현악 편성 1) 관현악 + 편종, 편경 보통의 관현악 편성에는 편종, 편경이잘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편종, 편경이 포함되는 편성일 때 이를 특별히 '관현종경합주'라고 부르기도 하고 또 약하여 '합악(合樂)'이라고 한 적이 있는데 지금은 이러한 용어를 사용치 않는다. 그러나 관현악 편성의 개념 안에서 편종, 편경이 포함되는가 안되는 가에 따라 음량 면이나 음악의 성격상 구분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때로는 관현악에 편종, 편경은 물론 노래와 춤까지 포함되는 대규모의 악(樂), 가(歌), 무(舞) 일체적(一體的)인 편성도 있을 수 있다. 2) 관현악 편성 모든 관악기와 현악기 그리고 타악기들이 편성되는 음악을 '관현악' 또는 '관현합주'라고 하는데 때로는 작은 규모의 줄풍류.. 음악이야기 2022. 1. 30. 전통음악의 이해 | 국악의 악기 - 특징 국악기의 특징 1. 음 색 국악기의 음색은 서양악기의 그것에 비하여 대체로 어둡고, 둔탁하며 애처롭다고 느낌을 표현하는 사람들이 많다. 국악기 음색에 대한 이러한 인상(印象)은 서양문화와 동양문화라고 하는 큰 문화적 차원에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국악기중 관악기들은 대부분 대나무로 만든다. 그리고 현악기들의 줄의 재질은 명주실로 만들어져 있다. 즉, 식물성 질감으로 된 악기가 대부분인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한국악기의 재료로 식물성 질감을 선호하게 된 한국인들의 귀와 그 심정적 배경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현악기 중에 양금이라는 악기는 금속성의 줄로 된 악기로 매우 이례적인 경우에 해당한다고 하겠는데 고 장사훈 박사가 이 양금이 아직 완전히 한국화 되지 못했다고 지적한 점을 보아 아직도 이러한 금속성의 .. 음악이야기 2022. 1. 30. 전통음악의 이해 | 국악의 악기 - 종류 및 분류 방법 국악기의 종류 및 분류 방법 1. 종류 우리나라 음악에 쓰이는 악기들 중에는 삼국시대를 전후하여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고유악기로부터 중국과 서역 여러 지방에서 수입된 악기에 이르기까지 그 수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 음악에 쓰이는 악기들 중에는 삼국시대를 전후하여 우리나라에서 창작된 고유 악기로부터 중국과 서역 여러 지방에서 수입된 악기에 이르기까지 그 수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역사적으로 악기들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문헌으로는 『삼국사기(악지)』, 『고려사(악지)』, 『세종실록(오례의)』, 『악학궤범』, 『증보문헌비고』등이 있는데 이들 문헌에는 악기명칭만 나열된 경우가 있어서 그 악기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삼국사기 악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악기 이름이 일부 소개.. 음악이야기 2022. 1.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