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치이야기 | 각 지역별 김치의 특성 각 지역별 김치의 특성 1. 경기도 경기도의 김치맛은 싱겁지도 짜지도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김치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겨울에는 영하 10℃로 내려가는 추위를 겪어야 하므로 김장은 대개 입동을 지나서 시작한다. 12∼2월까지 김장김치를 먹는데, 새우젓·조기젓·황석어(黃石魚:참조기)젓 등 담백한 젓국을 사용한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배추를 주재로 한 통배추김치, 보쌈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나박김치, 오이김치, 장김치, 감동젓김치 등이 있다. 2. 강원도 동해(東海)의 동태·오징어, 산악지대의 야채등 다양한 재료를 구할 수 있어 특색있는 김치의 맛을 낸다. 영동지방의 경우 배추김치에 소를 넣고 무·배·갓·파·마늘·고추 외에 오징어채와 말린 생태살을 새우젓국에 버무려 간을 맞추고 국물은 멸치젓을 넣으며 영서.. 교양 스토리 2022. 3. 26. 김치이야기 | 김치의 특징 및 지역별 대표 김치 김치의 특징 우리나라의 김치는 지방에 따라, 그리고 각 가정에 따라 특유한 것이 있어서 실로 다양하다. 특히 지방에 따른 특색은 고춧가루의 사용량과 젓갈의 종류들에 따라 생겨나는 것이다. 북쪽의 추운 지방에서는 고춧가루를 적게 쓰는 백김치·보쌈김치·동치미 등이 유명하며, 호남지방은 매운 김치, 영남지방은 짠 김치가 특색이다. 우리나라 김치의 가장 큰 특성은 김치에다 고추를 섞는 것이라고 하겠다. 고추는 비타민 C가 매우 많아서 사과의 50배, 밀감의 2배에 이른다. 또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과 고추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E는 비타민 C의 산화를 막아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우리 겨레는 긴 겨울 동안 부족되기 쉬운 비타민 C를 이 김치를 통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지역명 종류 서울 고.. 교양 스토리 2022. 3. 26. 김치이야기 | 김치 속의 화학 김치 속의 화학 과연 김치에는 어떤 화학작용이 일어날까? 첫째로 소금의 반응(삼투압의 원리)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소금은 김치를 담그기 전에 배추나 기타 채소를 소금으로 절일 때 사용된다. 소금을 사용하는 이유는 푸른 채소에 소금을 첨가하면, 윤이 나고 뻣뻣했던 채소가 나긋나긋하고 연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염에 의해 싱싱한 채소의 수분이 밖으로 나오는 성분 교환이 일어나게 되는데, 흔히 말하는 삼투압의 원리가 적용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것은 수억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집합체인 채소가 그 세포막 내에 여러 수분을 비롯한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미생물이 침투되기 전에 조미료의 침투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사멸되고 그 결과 신선도를 잃게 되며 따라서 세포 내외로 성분 교환이 일어나 맛이 침투하게 .. 교양 스토리 2022. 3. 26. 김치이야기 | 김치의 분류 및 종류 김치의 분류 세계적으로도 채소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예는 그다지 많지 않으나, 특별히 한국에서 김치형태로 발효식품이 발달한 이유는 농경을 생활의 기본으로 삼고 있던 선조들이 채소를 즐겨 먹었던 점, 또한 수산물의 염장기술이 뛰어나 양념으로서 폭넓게 이용하고 있었던 점, 특히 김치용 결구배추가 널리 재배, 보급되어 있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김치는 주원료의 종류, 형태, 사용한 부재료의 종류 및 사용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전문연구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김치의 주원료에 의한 분류만으로도 배추김치류 25종, 무김치류 62종, 오이김치류 10종, 기타 채소김치류 54종, 해조류김치류 5종, 기타김치 21종 등 187종에 달하고 있다. 1) 김 치 김장김치, 오이김치, 보쌈김치, 갓김치, 열무김치, .. 교양 스토리 2022. 3. 26. 김치이야기 | 김치와 건강 및 담그는 방법 김치와 건강 1. 김치의 영양 김치의 중요한 영양소는 각종 비타민군이며, 주재료인 배추, 무우, 고추, 마늘 등에는 상당량의 다양한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가 먹는 김치에는 각종 비타민군이 풍부합니다. 또한 김치는 당질이나 단백질, 지방같은 열량이 많은 영양소의 함량이 적은데 비해 칼슘과 무기질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입니다. 서양인들의 식단에서 나타나는 칼슘이나 인의 결핍이 우리에겐 전혀 문제되지 않는 것도 김치의 덕택이다. 뿐만 아니라, 김치를 많이 먹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산균 발효유를 굳이 마시지 않더라도 김치를 통해 유산균을 섭취 할 수 있습니다. 2. 김치 재료들의 주성분 및 효능 원료명 성분 효능 마늘 알린 알리신 항균성 및 항 바이러스성 (결핵,식중독,포도상구균,티푸스 질병 확산 저.. 교양 스토리 2022. 3. 26. 김치이야기 | 김치의 기능과 효능 김치의 기능과 효능 김치는 전통발효식품으로 그 효능은 과학적으로도 검증 되었다고 한다. 김치가 우리에게 주는 효능이 어떤 것 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한방에서는 김치를 음양(陰陽)이 조화된 완전식품이라고 한다. 즉 성질이 서늘한 배추와 무에 열이 많은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을 넣어 음양을 맞추었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고춧가루를 쓰지 않은 백김치나 동치미는 성질이 서늘해 열이 많은 소양인(少陽人)에게 알맞고, 매운 양념을 많이 쓴 배추김치는 몸이 차고 속이 냉한 소음인(少陰人)에게 알맞다고 한다. 잘 발효된 김치에는 젖산과 젖산균(유산균)이 풍부하며, 김치 1g에 젖산균 1억 마리쯤 함유되어 같은 무게의 요구르트보다 약 4배 많다. 또한 비타민 A와 C, 칼슘, 철, 인 등 무기질이 풍부하.. 교양 스토리 2022. 3. 26. 김치이야기 | 김치의 유래 및 변천사 김치의 유래 오늘날의 김치 모양은 1600년대 고추가 상용화되기 시작하면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김치의 기원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될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인류는 음식을 오래도록 보관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말리는 방법, 즉 건조를 통해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법이었다. 이후 인류는 소금으로 절이는 방법으로 발전했다. 그 다음 단계가 발효시키는 식품저장방법이 나왔다. 김치도 이런 식품저장 발전과정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우리조상들도 염장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이용해 식품을 절이는 방법을 개발했고, 이것이 김치의 시작이었다. 당시 한반도는 탄수화물이 주성분인 쌀을 주식으로 하는 농경사회였기 때문에 비타민과 각종 미네랄을 채소를 통해 섭취했다. 그러나 4계절이 뚜렷한 기후 특징으로 한겨울에 .. 교양 스토리 2022. 3. 26. 김치이야기 | 김치의 역사 및 기원 김치의 역사 김치에 관한 기록은 중국 최초의 시집인 『시경』에서부터 보이고 있다. 이 이집은 지금으로부터 2600~3000년 전에 쓰여 졌으며 “밭두둑에 외가 열었다. 외를 깎아 저(菹)를 담그자.”는 구절이 있는데 이‘저’가 바로 김치이다. 『여씨춘추(呂氏春秋)』에도 공자가 콧등을 찌푸려가면서 저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고, 『석명(釋名)』에도 저에 관한 설명이 있다. 『석명』에 의하면 “채소를 소금에 절여 발효시키면 젖산이 생성되고 이 젖산이 소금과 더불어 채소가 짓무르는 것을 막아준다.”고 하였다. 이로써 저는 채소를 젖산 발효시켜서 저장하도록 하는 젖산발효식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의 식품에 관한 서적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으나, 우리 문화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은 일본문헌.. 교양 스토리 2022. 3.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