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이야기 | 근대 과학의 창시자 아이작 뉴턴 3부 뉴턴의 일화 1. 뉴턴의 관찰력 뉴턴이 그랜섬의 중학교 다닐때의 일이다. 뉴턴은 그의 방을 어머니에게 받은 돈을 전부 털어 사들인 연장들로 가득 채웠다. 친구들과 사이가 원만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아이들이 게임을 하고 놀 때 혼자 방에서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들었을수도 있지만, 그는 무척이나 이런 시간을 즐겼다. 그랜섬의 북부에 풍차가 하나 지어졌는데, 물방앗간은 당시 이 지역에서 흔했지만 풍차는 거의 없었고, 따라서 풍차가 만들어지는 것을 구경하러 가는 것은 그랜섬 주민들의 소일거리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 과정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퐁차의 모형을 만든 것은 중학생이었던 뉴턴뿐이었는데, 그의 모형은 원형에 버금가는 훌륭한 작품으로 지붕 위에 올려놓으면 진짜처럼 움직였다. 더구나 이 모형은 진짜 풍차보다 .. 과학이야기 2024. 11. 24. 과학이야기 | 근대 과학의 창시자 아이작 뉴턴 2부 뉴턴의 업적 1. 광학자로서의 업적17세기 중엽은 과학이 전환기를 맞은 시대였다. 17세기 초기에는 망원경이 발명되어 천문학 연구 전반에 걸쳐 커다란 혁신이 일어났다. 때마침 영국의 철학자 베이컨과 프랑스의 철학자 데카르트 등이 전 유럽의 과학자들을 부추겨, 지난날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물리학)에만 의존하던 것을 지양하고 스스로의 힘으로 실험 관찰할 것을 주장했다. 이 베이컨과 데카르트의 주장을 그대로 실천에 옮긴 사람이 저 위대한 이탈리아의 과학자 갈릴레이었다. 뉴턴은 스스로 창안한 망원경을 사용해 천체 관측을 함으로써 천문학 연구에 커다란 혁신을 가져오게 했다.그리고 나아가 기계와 기구등의 실험을 통해 오늘날까지도 유명한 '뉴턴의 운동의 제1법칙'을 확립했다. 운동의 제1법칙은 조용히 멈추어 .. 과학이야기 2024. 11. 24. 과학이야기 | 연금술의 기원 및 철학 연금술의 기원신비주의적 전통을 지닌 연금술은 아랍으로 건너오면서 역시 신비주의적인 수피즘(sufism)과 결합되면서 발전하게 된다. 연금술(alchemy)이라는 어휘 자체가 아랍어의 기원을 갖고 있으며, 그 외 알칼리, 알코올, 나프타, 나트륨 등 연금술을 통해서 발견된 수많은 화학적 물질들의 이름들이 아랍어에 그 기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연금술의 이론적 근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소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모든 물질은 4원소들의 배합이기 때문에 그 비율을 바꾸면 다른 물질을 된다는 생각은 연금술들에게 물질이 변환될 수 있다는 믿음을 주었다. 9세기에 와서 아랍 연금술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자비르 이븐 하이얀(Jabir ibn Hayyan, 721?∼815?)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물질 이론을 더욱 발.. 과학이야기 2022. 9.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