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계사이야기 | 콜럼버스의 항해와 아메리카 대륙의 정복과정 2부 아메리카 정복1) 잉카문명의 멸망아메리카 정복으로 사라진 고대제국이 몇 나라가 있다. 그중에 유명한 것이 잉카문명이다. 잉카제국(Imperio Inca)은 안데스문명 계통의 최후 선부민 국가로서 남미의 페루, 볼리비아(티타카카호 주변), 에쿠아돌을 중심으로 게추아(Quechua)족이 만든 나라이다. 전신인 쿠스코왕국은 1200년 무렵에 성립하여 1438년 제9대 파차쿠티크(Pachakutiq) 황제의 즉위로 국가로서 재편성을 거쳐 1532년 스페인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이어졌다. 최성기에는 80개의 민족 1600만의 인구를 거느리고 현재의 페루, 칠레의 북부, 아르헨티나 북서부, 콜롬비아 남부까지의 국토를 가진 나라였따. 국토는 100만 평방킬로미터(한반도의 약 5배)이고 남북의 거리는 4천킬로미터나 되는..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7. 1. 세계사이야기 | 콜럼버스의 항해와 아메리카 대륙의 정복과정 1부 콜럼버스, 신대륙 발견의 배경중세 시대의 유럽은 카톨릭이 지배하던 시기였다. 교황의 권위는 각 궁의 왕들의 권위를 뛰어 넘었고 성직자라는 직업은 특권층이었다. 이 시절 카톨릭의 성지인 예루살렘이 이슬람 국가인 셀주크 투르크에 의해 점령 당하게 된다. 이에 성지를 되찾자는 구호 아래 유럽의 각 국은 병력을 차출하여 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해 원정을 떠나게 되는데 이 전쟁을 십자군 전쟁이라고 한다. 십자군 전쟁은 르네상스가 일어나게 된 중요한 배경이 된다. 이 십자군 전쟁으로 인하여 카톨릭 연합군은 패배하고 이 패배로 인하여 서아시아 지역이 이슬람 세력권에 들어감으로써 육로로 아시아와 교역하던 유럽은 교역의 길이 막히게 된다. 아시아와의 교역을 위해서는 신항로의 개척이 필요하게 되었다. 때마침 지구가 둥글다..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7.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