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이야기 | 무신란(武臣亂)와 무신정권(武臣政權)의 이해 귀족사회의 동요귀족사회의 모순으로 나타난 지배세력의 내부분열은 전통적인 문벌귀족과 지방출신의 신진관료세력 사이의 대립으로 나타났다. 그 구체적인 사건이 인종때 일어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이었다. 양란은 일단 수습되기는 하였으나 그렇다고 귀족사회의 모순이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이리하여 고려귀족사회는 그 근저로부터 동요하고 점차 붕괴의 길을 걷게 되었던 것이다. 결국 1170년 고려 귀족사회는 무신란에 의해서 붕괴된다. 무신란 발생의 요인1. 귀족사회 내부의 모순 2. 귀족정권의 대무신정책의 모순(崇文 賤武(숭문 천무) 3. 문신귀족정권에 대한 군인들의 불만무신란의 발생과 무신정권의 출현은 결코 우발적인 사건이 아니고 문신귀족정치의 누적된 모순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였으며, 무신정권이 성립되어 정치적 ..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4. 7. 20. 한국사이야기 | 갑신정변 - 배경 구미열강과의 외교 당시 개화지식인들은 임오군란 뒤 조선의 정치에 대한 청국의 간섭이 노골화되면서 조선의 독립에 위협을 가해오자 외국 특히 구미세력을 끌어들여야 된다고 믿고 있었다. 개화당 요인들은 그 어느 나라보다도 미국과의 국교수교를 갈망하고 있었다. 《조선책략朝鮮策略》이 들어온 이후 국내 지식인들 사이에서 미국은 영토에 야심이 없는 공평무사한 나라이므로 맘놓고 신뢰할 수 있는 나라라는 대단히 호의적으로 인식되어 있었다. 이런 미국과의 수호통상조약은 임오군란이 일어나기 전인 1882년 (고종 19) 5월 22일 이홍장의 주선으로 체결되었다. 이홍장은 자신의 주선으로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성립된 지 2주 뒤인 1882년 6월 6일 역시 이이제이 정책의 하나로 조영․ 조독수호통상조약의 체결을 성사시켰다. 그러.. 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2023. 2.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