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금의 보양식, 타락죽
TIP 1. 한국의 전통상차림 2. 타락죽 이야기 3. 타락죽 조리 시 중요한 것 4. 타락죽의 유래 5. 약으로 대했던 타락죽 6. 맛있는 타락죽 만들기 한국의 전통상차림 한국의 전통상차림은 받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서 나누어 져 있습니다. 밥상, 진지상, 수라상으로 이렇게 나뉠 수가 있는데, 밥상은 서민적인 것, 진지상은 양반을 위한 것, 수라상은 왕을 위한 것으로 언어적으로는 약간 분리가 되어 있습니다. 한국 밥상의 특징은 진지상 이상, 혼자 먹는 상, 이렇게 공식입니다. 양반이 먹는 상 이상은 즉 독상이라고 합니다. 독상이나 외 상 다 같은 말인데 둘 이상의 사람이 같이 먹는 경우에만 겸상이라고 하고, 겸 상은 대부분 서민이 먹는 밥상에 해당이 됩니다. 외상에서만 반찬 가짓수에 따라서 3첩 반상, ..
식객 팔도의 맛
2020. 10. 27.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