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발디(Antonoi Vivaldi, 1678~1741/이탈리아)
안토니오 '비발디'는 1678년 베네치아에서 태어나 1741년 빈에서 세상을 떠난 이탈리아의 위대한 작곡가인 동시에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가 였으며, 또한 교육가이기도 하였다. 1703년 카톨릭 성당의 사제로 출발하였으나 건강이 나빠져 1년 후에 물러나 그 후로는 전적으로 음악에 헌신하였다.

'비발디'는 붉은머리였기 때문에 항상 '빨강머리의 사제'라고 불리웠었다. 그리고 1703 ~ 1740년까지 베니스의 여자 고아원인 피에타 음악학교의 지휘자 겸 작곡가, 교사, 음악 감독을 역임했었다. 그는 이 학교를 위하여 모테트와 칸타타, 오라토리오 등을 작곡하였다. 특히 '비발디'가 결정한 3악장(알레그로-아다지오- 알레그로)에 의한 협주곡 형식은 J.S.Bach에게 영향을 주어 바로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협주곡 형식이 되었다. 독주와 총주(tutti)간의 뚜렷한 대조로 바로크 시대의 가장 인기있던 기악 형식인 통주저음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작품의 테마는 생기있고 유연한 리듬이나 시퀸스(sequence)의 효과적인 사용을 바탕으로 하여 발전되는데, 그것이 다이나믹한 음색의 변화, 변화가 넘치는 악기 편성법과 더불어 비발디 음악의 매력을 자아내고 있다.
'똑같은 곡을 1백곡이나 써갈긴 사람이다.' 이것이 험담가로도 유명한 후세의 스트라빈스키가 비발디를 가르켜 비꼬아 한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비발디는 교회용, 행사용 등등으로 몇 개 악장으로 되 꽤 긴 곡 을 평균 2,3일에 한 곡씩은 써야 할 처지였다. 사보가들이 미처 따라오지 못할 만큼 초고속으로 작곡을 해댄 결과 그는 협주곡만 해도 450곡이나 남겼으니 그게 그거라고 할 정도로 서로가 엇비슷해질 수밖에. 45세 무렵 비발디는 안나 지로라는 여가수를 알게 되어 순회공연까지 함께 다녔다.
당연히 사제로서 미사를 빼먹는 일은 더욱 잦아졌고, 그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눈길이 고울 리 없었다. 베 네치아에서의 그의 평판은 갈수록 땅으로 떨어졌다. 결국 그는 고향을 떠나 유럽 각지를 전전해야 했다. 오스트리아의 빈에서 극도의 빈곤 속에서 객사한 것 은 그의 나이 63세 때였다. 피붙이라고는 없었던 그를 기다리는 곳이라고는 빈 변두리의 쓸쓸한 빈민묘지 뿐이었다.
비발디의 음악은 한때는 잊혀져가는 듯했지만 2차 대전 이후로 다시 소생해 세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 실내악단에서는 그의 각종 악곡들을 빼놓을 수 없는 스탠더드 레퍼토리로 삼고 있다고 하며, '비발디'의 협주곡 중에서 제5번 A장조 '바다의 폭풍우', 제6번 a단조 '즐거움', 제7번 D장조, 제18번 g단조, 그리고 '사계'는 너무나 잘알려진 곡이다. 이 사계는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의 선조가 된 곡으로 알려져 있다.
① 협주곡[조화의 영감]
비발디는 협주곡의 형태, 즉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확립했다. 이 제 3번 「조화의 영감」이라는 제목의 협주곡집은 비발디의 걸작 가운데 하나로 꼽히며, 바하나 헨델 등의 창작에 커다란 지주가 된 작품으로서 12곡으로 이뤄졌고, 각각 다른 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합주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12곡의 악기 구성은 다음과 같다.
D장조, 바이올린 4개와 관현악, g단조, 바이올린 2개와 첼로와 관현악, G장조, 바이올린과 관현악, e단조, 바이올린4개와 관현악, A단조, 바이올린 2개와 관현악, a단조, 관현악, F장조, 바이올린 4개 (첼로의 조주)와 관현악, a단조, 바이올린 2개와 관현악, D장조, 바이올린과 관현악, .b단조, 바이올린 4개와 (첼로의 조주)와 관현악, .D장조, 바이올린 2개와 관현악, E장조, 바이올린과 관현악.
비발디는 1678년 경 출생일 것이라는 점 이외에는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이 곡이 1715년의 작품이라 하더라도 비발디의 나이 40세 무렵의 작품일 것이라 추정하는 수 밖에 없다.
② 바이올린 협주곡[사계]
작곡가인 안토니오 비발디의 천부적인 표현력이 내재되어 있는 아주 이상적인 곡으로 바이올린의 기량을 한껏 느낄수 있는 명곡중의 명곡이다. 1725년 "화성과 창의에의 시도"(Il Cimento dell Armonia e dell, Invention)란 부제로서 독주 바이올린과 현악 합주를 위한 12곡의 협주곡을 작곡한 비발디는, 그중 4곡에 각각 봄, 여름, 가을, 겨을이란 간단한 표제를 붙여, 이 곡을 "사계"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은 4개의 협주곡을 하나로 묶어놓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③ 바이올린 협주곡
비발디의 「6개의 협주곡」작품12의 1로서, 그의 대표적 명곡의 하나이다. 전곡은 3개의 악장으로 나뉘며 제1악장은 Allergro, 제2악장은 Largo, 제3악장은 Allegro, 짧은 곡이지만, 아름다운 애수를 띤 서정적인 멜로디가 바이올린으로 높게 노래되고 거기에 화답하는 관현악이 한없는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당시 이탈리아의 크레모나에는 바이올린과 첼로, 비올라를 만드는 뛰어난 장인(匠人)이 태어나, 그가 만든 바이올린이나 첼로는 그 때까지 없던 멋진 악음(樂音)을 울렸는데, 이것이 비발디의 창작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오늘날 명기로서 높이 존중되는 스트라디바리우스라 일컫는 바이올린․비올라․첼로가 그것이며, 그 훌륭한 악음은 현악의 세계에 일대 혁명을 가져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비발디의 창작은 이 새로 개척된 심원한 현의 세계로 날아가 풍부한 기품이 있는 서정의 흐름을 유려하게 그리고 있다.
④ 두 대의 첼로를 위한 협주곡 G단조
비발디의 두 대의 첼로를 위한 협주곡은 대개의 협주곡들처럼 오케스트라의 투티로 시작되지 않고 1악장의 첫 부분부터 곧바로 두 대의 첼로 연주로 시작되며, 독주를 받쳐주며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오케스트라의 리토르넬로도 상대적으로 느슨하다. 그러나 빈약한 오케스트라에 비해 첼로의 기교는 매우 강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비발디는 이러한 시도를 통해 이 곡에서 두 대의 첼로가 만들어내는 대화에 더욱 초점을 맞추려 했던 것 같다. 두 대의 첼로가 경쟁하듯 격렬한 선율을 연주한 후에 반주가 나오는 비발디 뿐만 아니라 바로크 시대의 작품으로서는 독특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