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및 역사이야기

세계사이야기 | 베트남전쟁

곰고로곰 2023. 2. 7.

 

 

 

베트남 전쟁

일반적으로 베트민(Viet Minh)으로 알려진 베트남 독립동맹은 프랑스로부터 베트남의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주의 정당으로 1941년에 조직되었다. 이 정당이 공개적으로 공산주의 정당임을 표방한 것은 1950년대 중엽에 와서였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194592,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항복한 지 채 2개월도 되지 않아서 베트남 독립동맹의 지도자 호치민은 베트남이 프랑스로부터 독립했음을 공식적으로 선포했다. 베트남 독립동맹은 베트남 북부지방에서는 인민들로부터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인도차이나에서 자신들의 지배권을 다시 주장하고 싶어했고, 베트남을 단지 프랑스 연합 내의 독립주로 여기려 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1946년 프랑스군과 베트남 독립동맹군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는데, 이 전쟁은 1954년 프랑스군이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치명적인 패배를 당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1954년 제네바에서 국제회의가 열려 프랑스와 베트남 독립동맹 사이의 정전문제를 논의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무력충돌을 막기 위해 회의참석자들은 프랑스군과 프랑스군의 지휘를 받는 베트남인들은 북위 17°선 남쪽으로 이동시키고, 베트남 독립동맹군은 북위 17°선 북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북위 17°선을 비무장지역(DMZ)으로 둘러싸인 군사분계선으로 정한다고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자기 고향을 떠나 남으로 혹은 북으로 떠났고, 프랑스군은 베트남으로부터의 마지막 철수를 시작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제네바 회의의 합의에 따라 공산주의자가 주도하는 베트남 독립동맹은 베트남 북반부를 장악하게 되었는데 이는 북베트남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비공산주의자가 이끄는 베트남 남반부는 남베트남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응오딘지엠은 휴전협상을 하는 동안에 남베트남의 총리가 되었다. 제네바 협정은 남·북 베트남을 인민에 의해 선출된 하나의 정부 아래 통합할 목적으로 국제감시위원회의 감독 아래 1956년 베트남 전역에 걸쳐 자유선거를 실시하도록 규정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북베트남은 남북 양쪽에 이미 만들어놓은 광범위한 정치 조직에 힘입어 이 선거에서 자신들이 승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남베트남에 자신의 지배체제를 강화해놓은 지엠1956년 예정된 선거를 치르기를 거부했다. 미국은 지엠의 입장을 지지했고, 그에 대한 대응으로 북베트남은 그때부터 정치적인 수단에 의해서보다는 군사적인 힘에 의해 남·북 베트남을 통일하기로 결정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미국 국무장관 J.F. 덜레스는 아시아에서 공산주의가 확산되는 것을 두려워해 미국 정부로 하여금 갈수록 민중의 지지를 잃어가고 있는 지엠 정권에 대해 경제적 지원과 군사적 지원을 해주도록 설득했다. 지엠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선출된 부락회의를 폐지시키고 사이공 정부에서 임명한 행정관들을 통해 통치했다. 또한 자신의 동료 가톨릭 교도들(그들 대부분은 북베트남에서 남베트남으로 이주한 사람들이었음)을 고위직에 등용함으로써 불교도들을 분노하게 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북베트남에서 훈련받고 무장한 베트남 독립동맹 병사들, 즉 베트콩들은 자신들의 고향으로 돌아가 암살·매복공격·태업·전항공작 등의 활동을 벌이면서 게릴라전을 확대시켜나갔다. 지엠 정권은 베트남 공화국 군대와 경찰을 건설하기 위한 미군 고문단과, 물자를 더 많이 보내줄 것을 요청해 원조를 받았으나 점점 커져가는 남베트남 공산주의자들과 베트콩의 세력을 저지할 수가 없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북베트남이 196012'베트남 민족해방전선'(National Front for the Liberation of Vietnam/NLF)이라는 조직으로 남베트남의 공산주의 반란자들을 통합하자, 이에 많은 비전투 군사요원들을 파견했다. 1962년말, 남베트남 주둔 미군 고문단의 수는 900(1960)에서 11,000명으로 늘어났고, 케네디는 만약 적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전투를 해도 좋다는 명령을 내렸다. 지엠에 대한 민중의 불만은 그의 군대 안에서도 커져가 지엠1963111일에 일어난 군사 쿠데타에서 마침내 암살되었다. 미국 정부는 그에게 실망하고 있었으며 사전에 쿠데타에 관해 알고 있었다.

 

지엠이 죽은 뒤 여러 내각이 계속 바뀌었고, 남베트남이 이처럼 정치적 수렁에 빠져 있는 동안 베트콩의 활동은 더욱 거세져갔다. 8월 북베트남의 초계정 수척이 통킹 만에서 미군 구축함 매독스호에 사격을 가했다는 보고를 들은 존슨 대통령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미해군 비행기들에게 북베트남을 폭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미국 의회는 거의 만장일치로 대통령에게 "공격을 격퇴하고……더이상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조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통킹 만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통킹 만 결의안은 사실상 대통령에게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전면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식적인 권한을 부여해주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1965년 이후로 미국의 베트남 전쟁에 대한 개입은 (1964년까지 남베트남에 35,000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던) 베트콩의 세력강화와 40만 명의 병력을 가지고서도 베트콩을 진압하지 못하는 남베트남 정부군의 무능 때문에 급속하게 규모가 커졌다. 미국은 남베트남의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서뿐 아니라, 공산주의자들의 공격 혹은 전복에 맞서 싸우는 데 미국의 도움에 의존하거나 의존할지 모르는 다른 맹방 국가들의 미국에 대한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점점 더 전쟁에 깊이 개입해 들어갔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196527일 밤, 베트콩은 플레이쿠에 있는 미군 기지를 공격해 8명의 병사를 사살하고 126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존슨은 그에 대한 대응으로 북베트남에 대한 보복 폭격을 명령했다. 3일 뒤 베트콩은 퀴논에 있는 다른 미군 군사시설을 공격했고, 존슨은 하노이와 남베트남 내 베트콩이 장악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더 많은 공중폭격을 명령했다.

 

36일 해군 2개 대대 병력이 포위공격을 받는 다낭 시를 구하기 위해 다낭 근처의 해안 지대에 상륙했다. 6월이 되자 미군 5만 명이 남베트남 정부군과 함께 싸우기 위해 도착했다. 소규모의 부대로 편성된 북베트남군은 캄보디아 국경 서쪽의 호치민루트를 경유해 남베트남에 도착한 후 베트콩과 연합작전을 펴기 시작했다. 당시 사이공 정부는 공군 소장 구옌 카오 키가 이끌었으나, 그는 급속히 악화되어가는 군대 상황을 막을 수 없었다.

 

베트콩 군대는 갈수록 많은 농촌지역을 장악해갔고, 공산주의자들의 승리는 임박한 것처럼 보였다. 존슨 대통령은 미국이 남베트남을 지킨다는 약속을 하고 군대를 더 파견함으로써 이에 대응했다. 1965년말에 18만 명의 미군이 윌리엄 C. 웨스트멀랜드 장군의 지휘 아래 남베트남에 주둔하고 있었다. 1966년 중반 이후로 미국과 남베트남 정부군은 반란군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일련의 새로운 전술을 도입했다. 그러나 농촌지역에서 베트콩을 몰아내고 정부군을 지지하는 민간인으로부터 그들을 분리시키려는 그들의 노력은 부분적으로밖에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미군은 주로 우세한 화력과 헬리콥터를 통한 공격 목표지역으로의 신속한 병력이동에 의존한 반면, 베트콩은 은폐·잠복·기습공격·매복공격에 의존했다. 남베트남 주둔 미군병력은 1967년에 389,000명에 달했다. 그러나 우세한 무기와 장비에도 불구하고, 미군은 교묘하고 결연한 자세로 싸우는 베트콩을 뿌리뽑을 수 없었다. 남베트남의 NLF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북베트남 군대가 증원되었다. 9월 남베트남에서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는데, NLF와의 협상을 지지하는 모든 후보는 출마가 금지된 상태에서 치러진 이 선거에서 구엔 반 티우 장군이 대통령으로, 키가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1968130일 북베트남군과 베트콩은 베트남인들의 테트(음력설) 축제일을 기해 대규모 기습공격을 감행했다. 그들은 남베트남의 36개 지방 중심도시와 5개 주요도시를 공격했다. 전투는 특히 사이공과 NLF가 수주일 동안 점령한 위에 시에서 치열하게 벌어졌다. NLF는 테트 공세 때 엄청난 손실을 입었고, 33,000명의 병사가 전사했다. 베트콩 병사들은 전투에서 너무나 많이 죽어 1968년 이후로 남베트남에서 활동한 반군의 대다수는 실제로는 남베트남으로 잠입한 북베트남 병사들이었다. NLF가 자신들을 후원하기 위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던 총봉기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그들의 공세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효과를 거두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왜냐하면 그것은 미국인들에게 미국 정부의 주장과는 반대로 미군은 결코 남베트남의 반군세력을 진압할 수 없으며 전쟁은 앞으로도 계속되리라는 것을 확인시켜주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1967년부터 서서히 미국의 참전에 반대하는 여론이 고조되었으며 그러한 여론은 평화행진, 시위, 그리고 시민불복종 운동으로 표현되었다. 갈수록 많은 수의 정치인들과 시민들이 미국의 전쟁노력이 성공할 수 있는가, 그리고 혹자는 베트남 내전이라고 해석하는 전쟁에 미국이 개입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정당한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웨스트멀랜드 장군은 테트 공세 이후 전쟁을 확대하기 위해 군대의 증파를 요청했지만, 미국의 여론 동향은 전쟁의 '축소' 쪽으로 움직였다. 1968331, 존슨 대통령은 텔레비전 연설에서 북위 20°선 이북에서의 폭격은 중지될 것이며 자신은 가을에 있을 대통령 선거에 재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하노이는 반군의 활동을 축소함으로써 미국의 폭격 축소에 응답했고, 10월 존슨은 폭격의 완전 중지를 명령했다. 그 사이에 미국과 하노이는 파리에서 예비 평화회담을 시작하기로 동의했고, 크레이턴 에이브러햄 장군이 남베트남 주둔 미군의 신임사령관이 되었다.

 

1969년 동안 남베트남에서의 전투는 산발적이고 제한적으로 전개되었고, 북베트남군의 침투도 가을이 끝날 무렵까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6월 들어 닉슨 대통령과 티우 대통령은 남베트남에서 일차로 25,000명의 미군을 철수시키겠다고 발표했다. 그당시 베트남에서 54만 명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미군은 남베트남이 미국의 무기·장비·공군력 지원과 경제원조를 충분하게 받으면서 점차로 자주국방 태세를 확립하도록 '베트남화'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미군 야전사령관들은 사상자가 '절대 최소'로 줄어들도록 하라는 지시를 받았는데, 실제로 미군의 피해는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파리에서의 평화회담은 지지부진했으나, 남베트남은 마침내 자신들이 직접 NLF 및 북베트남 측과 협상을 하기로 동의했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그러나 1970년 봄, 미군과 남베트남 정부군이 북베트남의 요충지와 부대 집결지역을 파괴하기 위해 캄보디아의 접경지구에 침입하면서 베트남 전쟁은 재개되었다. 미군 비행기들은 상당수의 북베트남 군대가 친 공산주의 파테트 라오(라오스 애국전선)와 연합해 미국의 지원을 받는 브양트안 정부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고 있던 라오스 북부지역을 폭격했다. 호치민루트는 언제나 B-52 폭격기들의 표적이었다. 전투가 캄보디아로 확산되자 미국에서는 새로운 반전시위와 저항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기 시작했다. 1970년말 남베트남 주둔 미군 병력은 335,000명으로 줄어들었다. 베트남으로부터의 미군의 점진적 철수는 이전에 공표한 대로 진행되었으나, 평화회담은 여전히 교착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반응형

1971년말 남베트남군은 여전히 미국 공군의 지원에 의존했지만, 지상에서의 모든 전투의 작전 지휘권을 갖게 되었다. 남베트남 주둔 미군 병력은 약 16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19723월 북베트남군은 비무장지대로 쳐들어와 쾅트리 성()을 점령했다. 닉슨 대통령은 하이퐁을 비롯한 북베트남의 다른 주요항구에 기뢰를 부설하고 북베트남에 대한 집중적인 폭격을 퍼부을 것을 명령했다. 평화회담은 7월에 다시 시작되었으나 12월 중순 양측이 각각 상대방에게 약속을 위반했다고 비난함으로써 대화가 중단되었다. 하노이와 북베트남의 도시들은 그 후 11일 동안 미군의 집중 폭격을 받았다. 파리에서는 다시 회담이 시작되었고, 1973127일 마침내 남베트남 공산주의 세력, 북베트남, 남베트남, 미국 사이에 협정이 이루어졌다.

 

 

협정의 내용은 그 다음날 아침부터 북베트남과 남베트남 전역에서 전투를 중지한다. 모든 미군을 철수한다. 모든 미군 기지를 철거한다. 모든 전쟁 포로들을 석방한다. 다국적군이 평화를 감시한다. 남베트남은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권리를 가진다. 북베트남 군대는 남베트남에 머물 수는 있으나 더이상 증강하지는 않는다. 북위 17°선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두 나라가 통일될 때까지 분계선으로 남아 있게 된다는 내용이다. 조인된 214개 조항의 합의가 추가되었다. 8월 들어 미국 의회는 인도차이나에서 더이상의 미군의 전투를 금지했다. 1973년말 남베트남 주둔 미군 병력은 거의 사라졌다.

 

벌거벗은 세계사 E34

 

그러나 정전 협정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계속되었고,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은 각각 상대방이 정전협정을 수없이 위반했다고 비난했다. 군인과 민간인 사상자 수는 과거 어느 때에 못지 않게 많았다. 1974년 남베트남은 더이상 방어할 수 없는 변경 지역을 포기하기 시작했고, 베트콩은 여러 지방 도시들을 점령했다. 19751월 공산주의자들은 다시 공세를 시작했다. 북베트남군이 푸오클롱 성을 공격하자 남베트남 정부군은 후퇴했다. 예상치 못하던 남베트남 정부군의 푸오클롱 성 포기는 북베트남군으로 하여금 남베트남에 대한 총공세를 결행할 수 있는 때가 왔다는 확신을 주었다. 이에 북베트남군은 중부 고원지대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고, 남베트남 정부군은 3월 이 지역을 포기했다.

 

그리고 나서 티우 대통령은 쾅트리·위에 시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그러자 남베트남군은 해안 도시들을 하나씩 포기하더니 4월초에는 남베트남의 북반부를 북베트남군에게 넘겨주고 말았다. 남베트남 정부군은 뿔뿔이 흩어지기 시작했고, 그때까지 남아 있던 미국인들은 베트남 친구들이나 직장동료들과 함께 비행기나 배를 타고 탈출했다. 421일 티우 대통령은 사임하고 타이완으로 도망쳤다. 430일 티우 대통령의 뒤를 이은 두옹반민의 남베트남 정부는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고, 사이공은 아무런 저항 없이 점령되었다남베트남에는 군사정부가 세워졌고, 197672일 베트남은 공식적으로 하노이를 수도로 하는 베트남 사회주의공화국으로 통일되었다. 사이공은 호치민 시로 개칭되었다.

벌거벗은 세계사(만평) E34

 

 

반전운동

베트남 반전운동은 1차 대전과 제2인터내셔널의 붕괴로 파산이 난 국제주의의 부활이었다. 베트남 전쟁에 직접 개입한 미국만이 아니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과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에서 자발적인 국제 연대가 실현되었다. 그리고 이런 반전운동은 국내에서도 한때 커다란 주목을 끌었던 세계적인 1968년 혁명의 주요 동력 중 하나로 작용했다. 68년 혁명의 선두에 학생운동이 있었던 것처럼, 반전운동의 선두에 선 주체들도 1차적인 전투병력인 청년·학생들이었다.

 

국제적인 베트남 반전운동은 크게 두 가지 계기를 통해 확산되었다. 첫 번째 확산은 1965년 미국의 존슨 정권이 베트남에 대규모 병력을 파견하고 대대적인 폭격을 개시한 즈음에, 두 번째 확산은 1968130NLF가 이른바 구정공세(Tet Offensive)를 펼치고 상징적인 승리를 거둔 직후에 이루어졌다.

 

첫 번째 확산 과정은 한국전쟁(1950~53)으로 최종 확립된 냉전 체제의 억압 질서를 서서히 뚫고 나온 일국적 저항운동의 성장과 맞물려 있었다. 미국에서는 60년대 초부터 흑인 민권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했고, 1964년 버클리 대학의 자유언론운동(Free Speech Movement; FSM)은 학생운동의 시발점이자 반전운동의 싹을 보여줬다. 물론 미국의 군사 개입이 전면화된 1965년 봄의 반전운동은 아직 소수의 목소리에 불과했다. 또한 당시 인종차별철폐에 집중하던 흑인 중심의 학생비폭력조정위원회(The Student Non-violence Coordinating Committee; SNCC), 전쟁 반대를 외치는 백인 중심의 민주사회를 위한 학생연합(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 SDS)간의 거리도 그리 가깝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해 봄 미시건 대학부터 시작해 전국 대학으로 이어진 농성 토론회(Teach-in)는 점차 반전 여론을 주도해 나갔고, 그에 힘입어 1015일에는 25개 주 1백 개 도시에서 반전 시위가 발생했으며, 1127일에는 워싱턴에서 약 2만 명이 베트남 평화를 위한 워싱턴 행진을 전개할 수 있었다. 이런 흐름은 마치 폭풍 전야의 잔잔한 파도처럼 1966-67년 내내 꾸준히 지속되었으며, 674월부터 마틴 루터 킹 목사 등이 민권운동과 반전운동의 결합을 호소하면서 SNCCSDS간의 조직적인 연계도 조금씩 강화되었다. 또한 6710월 징집거부 주간(Stop the Draft Week)을 선포하고, 21일 워싱턴 반전 시위의 최대 규모인 약 10만 여명이 참여한 펜타곤 행진에서 시위대가 징병 소집장을 소각하면서, 그 동안 토론, 집회, 연좌농성에 머물던 반전운동은 징집거부운동으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그후 베트남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징병 소집장을 불태우거나 징집을 피해 도피 생활을 하는 것은 반전운동의 주요한 실천 형태로 나타난다.

 

두 번째 확산 과정은 군사력의 절대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조직적인 기습공격을 감행한 NLF의 구정공세로부터 촉발되었다. 남베트남 전역에 동시 공격을 개시하고 사이공을 일시 점령한 구정공세는 비록 미군에 의해 패퇴되었지만, 그 상징적인 의미는 커다란 것이었다. 그것은 전쟁세력에게는 참담한 충격이었고, 반전세력에게는 신선한 충격이었다. 이미 공산화를 저지한다는 반공 이데올로기가 반전운동과 민권운동을 통해 서서히 균열을 일으키는 상황에서 거의 유일한 전쟁 이데올로기였던 승리가 임박했다는 선전은 더 이상 설득력을 지닐 수 없었고, 전쟁 부담으로 인한 재정적자와 50만 명이 넘는 파병군의 생존에 대한 책임은 존슨 정권이 짊어지기엔 벅찬 것이었다. 결국 구정공세 이후 두 달만인 331일 존슨 대통령은 폭격 제한, 미군 철수, 재선 불참 등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으며,3) 미국 내의 반전 정서는 급격히 확산되어 이제 학생운동만이 아니라 다수 대중들이 평화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희망 없는 전쟁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할 아무런 이데올로기적 명분도 더 이상 존재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데올로기의 끝은 물리적 억압의 시작이었다. FBI를 비롯한 정보기관들이 반전운동조직을 와해시키기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고, 경찰과 방위군은 폭력적인 진압에 만족하지 않고 시위대를 향해 총격을 가했으며, 지도적인 반전 활동가들은 기소되거나 살해되었다. 196828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시위에서 경찰의 발포로 3명이 사망했고, 44일에는 마틴 루터 킹이, 65일에는 미군 철수를 주장한 로버트 F. 케네디가 암살되었으며, 828일 시카고 민주당 전당대회 기간에 열린 시위에서는 경찰의 잔혹한 폭력이 극에 달한 지경이었다. 이런 양상은 19694월 하버드 대학 점거, 5월 버클리 인민공원 방어 시위 등에서도 똑같이 재현되었다.

 

그러나 국가폭력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학생운동은 일종의 인종동맹을 이루면서 순식간에 급진화했고, 반정부 여론은 심화되었다. 19691015일 반전운동 중 최대 규모의 시위가 된 베트남 전쟁중지일(Moratorium Day)에는 미국 전체에서 수백만 명의 인파가 물결을 이루었다. 특히 197054일 켄트 주립대학 시위에서 경찰의 총격으로 4명의 학생이 사망한 사건은 불에 기름을 부은 격이었다. 학생 파업, 노동자들의 비공식 파업(wild-cat strike)이 연이어 벌어졌고, 베트남 미군 병사들의 빈번한 탈영, 심지어 베트남 참전 재향 군인들의 반전 시위까지 나타났다. 1970년은 미국의 총체적인 위기였다. 결국 19731월 미군은 베트남에서 철수해야 했고, 19748월 닉슨 대통령은 워터게이트 사건에 연루되어 사임하기에 이른다.

 

 

 

728x90

댓글